본문 바로가기

맛집 및 기타

결혼 준비 3000만원으로 끝내기.

반응형

결혼준비를 하면서 어떤 비용이 들고 예산은 어느정도 필요한지 정리해봤습니다.

 

1 결혼준비 커플 성향

=> 보통 세 부류입니다. 


ㅁ 로망대로 하고 싶은 거 다하기
ㅁ 로망은 있지만 서로의 중간 정도에서 합의
ㅁ 결혼식에 로망이 없어서 저렴하게 하기
=> 저희는 2번이지만, 나름 저렴하게 했던 것 같아요.

 


2 예식장
저희는 견적을 23년 10월, 11월 기준으로 받았습니다.

저희가 가본 6개의 예식장을 평균 내보니 다음과 같았습니다. 

 

계약금 : 50 ~ 200만원.
대관료 : 70~300만원.
보증인원 : 150~250명.
식대 : 4.2~5만원.

=> 이 중 최종 계약한 예식장 가격은 계약금 50, 대관료 150, 보증인원 170, 식대 4.7만원입니다.

=> 대략 1000만원 정도 들었네요. 

 

** 6개월마다 가격이 인상돼서 아마 지금은 저희가 받은 가격에서 한 번 더 올랐을 거에요.

 


3 허니문 
태국, 발리, 하와이, 유럽, 몰디브, 괌 등등이 있겠죠.
저희는 태국으로 정해서 20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.

보통 어디를 언제 가느냐에 따라 200~1000만원 정도 듭니다.
비용은 환율과 가는 시점에 따라 조금 달라지는 것 같아요.

 


4 스드메+ 본식
박람회를 이용 시 : 170만원
추가비용(드레스 추가, 원본,수정본 사진 추가, 헬퍼 이모 비용, 아이폰스냅 등) : 100+@만원
⇒ 저희는 대략 30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.

=> 준비를 늦게 한다면 저렴하게 하더라도 400~500만원도 들 것 같습니다. 

 


5 한복/예복/예물
한복 : 저희는 양가 어머님 한복에 30들었습니다. 

=> 30만원~60만원(대여) (맞춤일 경우 8~90 정도)

예복 : 제 턱시도는 17만원에 대여했고요. 

17~25만원(대여) (맞춤/기성복일 경우 80~ 100 가까이) 

예물 : 예물도 저희는 결혼반지만 해서 12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. 

보통 저렴하게 하면 100~200만원이지만, 얼마나 하느냐에 따라 300, 500도 들 것 같습니다.

 


6 가전/가구
가구 : 오늘의집, 이케아, 베스트슬립, 가구거리 등등 
가전 : 삼성, LG, 위니아, 캐리어 등 

저렴하게 1~2년 된 모델을 3개 이하로 구매할 경우 : 온라인
할인 많이 받고 신상품을 저렴하게 사고 싶은 경우: 오프라인
=> 90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. 

 

 

7 청첩장 모임비용 + 답례품, 선물 등 

=> 20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. 

반응형